Menu Close

도서관은 살아있다.

과거 도서관은 선별된 자료가 집합된 장소로 학생들이나 학자들의 전유물로 여겨졌지만, 현재 많은 공공 도서관들은 모든 지역 구성원에게 열린 장소가 되기 위해 정부는 물론 지자체 역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이용객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도서관은 변모하고 있습니다.

 

그림1: 웹 대시보드 – 등록 정보 조회

 

안전 규칙 준수

코로나의 세계적인 유행으로 인해 도서관을 비롯 많은 기관에서 일일 입장 인원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DFRC의 실시간 유동인구 분석 시승템인 LBASense은 QR 코드 혹은 지역 WiFi 네트워크에 연결시 쉽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기기별 고유부호인 MAC Address를 이용하여 별도의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시스템 운영자는 도서관 내 중점시설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각 모바일 기기의 위치 및 마지막 탐지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림2: 웹 대시보드 – 분석 모듈

 

효율성 향상

오늘날 도서관은 점점 더 증가하는 도서관 시설에 대한 수요에 발맞춰 공간을 최적화하고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기존의 도서관이 도서 및 영상자료 열람 등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장소에 공간을 할당하는 데에 반해, 오늘날 도서관은 그들의 자산을 바탕으로 이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하고 있습니다. LBASense는 도서관의 각 시설별 인구를 실시간으로 집계하고 체류시간을 계산하여 이용객에 대한 더욱 심층적인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그림3: 웹 대시보드 – Overview

 

이용객 분산

도서관 시설에 대해 집중되는 수요를 분산하기 위한 노력도 수반되어야 합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많은 도서관에서는 키오스크를 활용하여 자리를 배정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키오스크를 통한 관리는 실시간 상황을 반영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LBASense는 실시간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 시스템 운영자로 하여금 대기 인원을 다른 시설로 유도, 시스템의 효율성은 물론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궁극적인 해법 – LBASense

LBASense는 규모에 상관없이 오늘날의 도서관이 마주하고 있는 문제의 가장 적합한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시스템 운영자는 도서관 전체의 인구 분포를 웹 혹은 모바일 대시보드를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은 물론, 원하는 시간대와 시설에 대한 이용객들의 패턴을 대시보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 방문객 수, 체류시간, 재방문율
  • 이용객 전체의 시설 이용 패턴을 Mobility (모빌리티) 모듈에서 그래프와 빈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 로컬 네트워크나 QR 코드를 통해 시스템에 쉽게 등록할 수 있으며, 운영자 역시 웹 대시보드를 통해 여러대를 동시에 등록하거나 혹은 공간의 특성에 맞게 변수를 구성하여 등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운영자는 등록된 기기에 대해 탐지 이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기존의 도서관 애플리케이션 혹은 홈페이지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API를 제공해드립니다.

 

해당 포스트를 통해 DFRC의 솔루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이메일이나 홈페이지로 연락주세요.

 

Posted in Solutions